티스토리 뷰

윈도우10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뜻하지 않게 메모리나 CPU 점유율이 무지막지하게 치솟는 현상을 겪어보셨을거라 생각됩니다. 작업 관리자 목록을 보면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항목이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는 상황인데 해당 항목을 삭제 또는 제거를 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작성을 해볼까 합니다.

보통 제외 구성 기능을 많이 사용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점유율이 살아나게 됩니다. 그래서 그냥 아예 중지를 시켜버리고 다른 백신을 사용하는게 속편한데요. 일단 중지 방법은 윈도우 키보드 단축키 윈도우키 + i키를 눌러줍니다. 그럼 위와 같이 windows 설정창이 하나 생성되는데 업데이트 및 보안 항목을 클릭하여 주세요.

업데이트 및 보안 페이지로 넘어와 좌측에 있는 windows 보안 항목을 클릭하고 우측 보호 영역에 있는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부분에 있는 설정 관리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페이보릿 불펌금지

설정 관리 버튼을 클릭하여 위와 같은 페이지가 조회되면 맬웨어를 찾고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거나 실행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실시간 보호 기능을 일딴 끔 상태로 변경합니다.

그리고 바로 단축키 윈도우키 + r키를 눌러 실행창을 소환하고 명령어 gpedit.msc 입력후 엔터를 눌러줍니다. 여기서 잠깐, 위 명령어 입력후 실행 불가 또는 없다고 하는 팝업창을 만난다면 아래 링크 박스로 들어가 gpedic을 설치하여 주세요. windows10 home 버전 같은 경우 로컬그룹 편집기가 없어서 따로 설치를 진행해야 합니다.

 

gpedit.msc 설치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다운로드 윈도우10 home 버전

이번 포스팅은 gpedic.msc 설치 로컬그룹 정책 편집기 다운로드 윈도우10 home 버전에 대하여 적어볼까 합니다. 윈도우10 home 버전을 사용하면 해당 기능이 없기 때문에 따로 설치를 해줘야 합니다. ��

favoritepps.tistory.com

이어서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팝업창이 실행 되었다면 좌측 관리 템플릿을 한번 클릭후 우측 화면이 뜨면 windows 구성 요소를 두번 클릭합니다.

그리고 목록을 아애로 내려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폴더를 두번 클릭합니다.

화면이 넘어오면 실시간 보호 폴더를 다시 두번 클릭합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실시간 보호 끄기 항목을 더블 클릭하여 주세요.

위와 같은 팝업창이 생성되면 사용 항목 선택후 아래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다시 좌측 뒤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여 돌아온후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사용 안 함 항목 더블 클릭을 합니다.

속성 팝업창이 나타나면 사용 선택후 아래 확인 버튼을 눌러 마무리 지어주세요.

성공적으로 끝난 경우 이렇게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부분이 조직에서 관리됩니다. 라는 문구로 표시되며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점유율이 치솟지 않게 됩니다. 이 같은 경우 보안에 취약하니 꼭 다른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